이미지
‘IBK 대들보’ 김희진… 세월 앞에 장사 없나
N
2025-02-06 02:10:51 (3시간 전)

여자 프로배구 IBK기업은행의 김희진(34·사진)은 2011년 창단 멤버 중 유일하게 팀에 남아 있는 프랜차이즈 스타다. 2010∼2011 신인 드래프트 당시 창단팀이었던 IBK기업은행은 10명을 우선 지명했다. 여느 신인 드래프트에 참여했다면 전체 1순위를 다퉜을 김희진과 박정아(페퍼저축은행)가 뭉친 IBK기업은행은 V리그 입성 첫 6시즌 동안 챔피언결정전 우승 3회, 준우승 2회를 기록하며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2016∼2017시즌 후 생애 첫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은 두 선수의 행보는 갈렸다. 박정아는 도로공사 이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나섰고, 김희진은 IBK기업은행에 남았다. 그리고 2017∼2018시즌 챔프전에서 김희진과 박정아가 만났고 결과는 도로공사의 우승이었다. 이는 두 선수의 앞날이 극명하게 갈리는 것의 복선이었을 지도 모른다.

도로공사 6년을 거쳐 페퍼저축은행에서 2년차를 맞이하고 있는 박정아는 팀 최고연봉자이자 주장으로서 여전히 맹활약하고 있다. 반면 김희진은 이 정도로 에이징 커브(노쇠화로 인한 기량 저하)가 심하게 온 선수가 있을까 할 만큼 평범한 선수 이하로 전락한 모습이다.

전성기 시절 김희진은 185㎝의 좋은 신장과 폭발적인 운동능력을 앞세워 공격과 서브, 블로킹에서 큰 존재감을 발휘했다. 이렇게 IBK기업은행의 상징이었던 김희진은 2023년 2월에 받은 오른쪽 무릎 수술 여파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오랜 재활 끝에 다시 코트에 섰지만, 김희진은 지난 시즌 14경기에 출전해 19득점에 그치며 데뷔 후 처음으로 세 자릿수 득점에 실패하고 말았다. 절치부심하며 2024∼2025시즌을 준비했지만 달라진 게 없다.

지난 4일 화성 홈에서 열린 현대건설과의 5라운드 맞대결은 김희진이 건재를 알릴 좋은 기회였다. 이주아와 함께 미들 블로커로 나서며 올 시즌 처음으로 선발 출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희진의 존재감은 미미했다. 서브득점 1개 포함 단 2점. 공격 성공률은 12.5%에 불과했다. 결국 3세트부터 다시 웜업존으로 물러났다.

스포츠 뉴스 : 1989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