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韓농구]조용한 날 올까...사건·사고 끊이질 않는 KBL
2024-12-21 04:18:14 (2달 전)
![](/files/content/2024/12/thumb/1734722292_694a17950290f05a15a5.jpg)
흥행에 더욱 불을 붙여야 하는 시점. 남자프로농구가 각종 사건·사고로 얼룩지고 있다. 아직 흥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고 있지만 안심하긴 이르다. 부정적인 인식이 퍼지며 자칫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 사건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농구계 관계자들의 인식 개선은 물론, 제도적 개선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쏟아진다.
소노가 가장 몸살을 앓았다. 김승기 전 감독이 선수 폭행을 하면서 도마에 올랐다. 지난달 10일 SK와의 원정 경기 하프타임 때 라커룸에 들어와 김민욱을 강하게 질타한 뒤 젖은 수건으로 얼굴을 때렸다. 신성한 스포츠 세계에서 폭력이 이뤄졌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잘못을 인정한 김 감독은 자진사퇴했다. 김 감독은 모기업의 어려움을 겪다 지난 시즌 구단을 인수해 창단한 소노의 첫 사령탑으로 부임했다. 불명예스러운 퇴출이었다. 김 감독은 이후 한국농구연맹(KBL) 재정위원회로부터는 자격정지 2년이라는 중징계까지 받았다.
소노는 김태술 감독에게 지휘봉을 맡기면서 분위기 전환에 시도했다. 어수선한 상황은 마무리되지 않았다. 이번에는 폭력 피해자였던 김민욱의 폭행 의혹이 불거졌다. 대학 시절 운동부에서 가혹행위를 일삼았다는 폭로가 이어졌다. 스포츠윤리센터와 KBL 클린바스켓볼센터에 같은 내용의 신고가 접수되면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김민욱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학교 폭력 일부를 시인했다. 소노는 ‘선수가 사회적 물의나 구단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행위를 할 경우 계약 해지를 할 수 있다’는 조항에 따라 김민욱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다만 김민욱은 계약 해지 합의서엔 사인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노의 분위기가 좋을 리 없었다. 11연패라는 최악의 부진을 겪었고 지난 17일 KT를 상대로 간신히 연패 사슬을 끊었다. 여전히 최하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른 구단도 긴장을 놓아선 안 된다. 지난 시즌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한 DB의 김주성 감독은 지난 10월 한국가스공사와의 홈 경기 작전타임 도중 욕설을 해 논란을 일으켰다. 팀이 47-74로 크게 뒤진 상황에서 외국인 선수 이선 알바노의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자 보드마카를 던지며 욕설을 읊조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전창진 KCC 감독도 작전타임 도중 비속어를 내뱉었다. 이 장면들은 모두 생중계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됐다.
KBL이 10개 구단에 ‘비속어 사용 주의’ 공문까지 전달하면서 재발 방지에 나섰다. 팬들을 잠재우긴 역부족이었다. 2024년에도 농구판에서 욕설과 폭력을 봐야하느냐고 비판했다.
공교롭게도 김승기 전 감독은 전창진 감독의 지도 속에 같은 팀에서 사제지간으로 뛴 적이 있다. 둘은 감독과 코치로도 한솥밥을 먹었다. 김주성 감독 역시 전 감독과 같은 팀 사제지간이었다. 악습이 대물림되고 있는 것이다.
남자프로농구는 치열한 순위 싸움을 벌이고 있다. 최하위권 팀들에게도 6위까지 주어지는 ‘봄농구’ 진출 희망이 있다. 이럴 때일수록 선수들의 땀과 감독의 지도력이 더욱 조명받아야 한다.
더 이상 반복돼서는 안 된다. 비단 농구뿐만이 아니다. 제도 개선을 통해 처음부터 폭력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뿌리 뽑아야 한다. 감독의 권한 분산하고 선수들도 감독을 직접 평가할 수 있는 구조 개편이 뒤따라야 한다. 아울러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도 필요하다
-
‘김연경 13점’ 흥국생명, 한국도로공사 완파하고 파죽의 6연승 N 25-02-07 00:19:11
-
24-21에서 용병 빼고 지다니 → 장충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이영택 GS 감독 설명은 25-02-06 01:29:56
-
도공→IBK→GS→도공→페퍼→도공→페퍼→흥국…'트레이드 5번' 이적생 세터 대반전, 30살 25-02-04 00:28:37
-
‘나흘 만에 2패라니’ 또 넘지 못한 흥국의 벽…13연승 뒤 2연패 “정규리그 우승 경쟁 25-02-03 01:12:19
-
미쳤다 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 현대캐피탈 질주 누가 막나…쿠바 특급 36점 폭발, 25-02-02 01:38:04
-
1999
도로공사만 만나면 ‘깡패’가 되는 197cm 폴란드 외인? 흥국생명, 마테이코 활약 앞세워 N
25-02-07 00:24:17 -
1998
'6연승' 흥국생명, 한국도로공사 3-0으로 완파하고 선두 질주 N
25-02-07 00:22:47 -
1997
“다른 세터를 못 쓰겠다” 김종민 감독의 이유있는 슈퍼 루키 앓이 N
25-02-07 00:21:29 -
1996
희비 엇갈린 ‘재계약‘ 사령탑들…정관장 고희진 감독만 웃었다 N
25-02-07 00:20:17 -
1995
‘김연경 13점’ 흥국생명, 한국도로공사 완파하고 파죽의 6연승 N
25-02-07 00:19:11 -
1994
"팀을 떠난다고? 우리 팀에 돈치치 있다" 르브론, 레이커스 잔류 선언 N
25-02-06 23:45:39 -
1993
굿바이, 월드클래스 LB…'546경기 출전+우승 트로피 25개 수집' 레알 레전드, 현역 N
25-02-06 23:44:39 -
1992
"새로운 도전 계속하겠다" 했는데 '대만行' 거절...보류권 풀린 '63홈런 효자 외인' N
25-02-06 23:42:33 -
1991
'홈런왕'의 완벽한 오판…2300억 거절 후 785억에 간신히 메츠 잔류 N
25-02-06 23:41:12 -
1990
'韓 역대 최고 유망주' Min-hyeok 향한 관심 폭발...양민혁, 프리시즌 손흥민 옆 N
25-02-06 23:39:33 -
1989
‘IBK 대들보’ 김희진… 세월 앞에 장사 없나
25-02-06 02:10:51 -
1988
이토록 에이징 커브가 극단적인 선수가 있었나… IBK 김희진, 더이상 전성기 기량 회복을
25-02-06 01:42:43 -
1987
'16연승하다 0-3 충격패배...' 더 충격적인 감독의 발언 "시기 적절한 패배였다
25-02-06 01:39:04 -
1986
‘경민불패!’ 대학교 체육관에서 일어난 기적…절대 1강 17연승 도전, 언더독 돌풍에 막혔
25-02-06 01:31:31 -
1985
24-21에서 용병 빼고 지다니 → 장충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이영택 GS 감독 설명은
25-02-06 01:29:56 -
1984
'적수가 진짜 없다' 현대캐피탈, 정규리그 1위 확정 임박! 조기 우승 확정 시점
25-02-05 16:12:48 -
1983
이토록 에이징 커브가 극단적인 선수가 있었나… IBK 김희진, 더이상 전성기
25-02-05 16:12:07 -
1982
선두 추격 바쁜 현대건설, 왼쪽라인 부활에 ‘희망가’
25-02-05 16:11:07 -
1981
‘국대’ LG 양준석-‘미발탁’ kt 허훈-‘투혼’ 가스공사 벨란겔…2위 경쟁 열쇠
25-02-05 16:10:37 -
1980
DB 최성원, 김주성 감독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가드가 많긴 하지만…”
25-02-05 16:09:57 -
1979
41시간 내에 데려온다 GSW, 듀란트-커리 재회 초대형 빅딜 해낼까... NBA 전체가
25-02-05 16:09:26 -
1978
'충격 트레이드' NBA 레이커스, LA 더비서 쾌승…돈치치 관전
25-02-05 16:09:00 -
1977
'미쳤다!' 이강인, 등번호 10번 주인공...패스성공률 95%
25-02-05 16:08:12 -
1976
토트넘 보고 있나? 양민혁 대박이다! 2경기 연속 교체 출전...QPR, 블랙번에 2-1
25-02-05 16:07:21 -
1975
이승우·강민우·박정인 그리고 '나'…선수들이 예언한 2025 K리그 스타
25-02-05 16:0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