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 일인가' 김하성 복귀일, ML 초미의 관심사... 그들은 왜 '타율 2할 3푼'
2025-01-16 14:41:41 (22일 전)
![](https://imgnews.pstatic.net/image/108/2025/01/16/0003296638_001_20250116130111278.jpg?type=w647)
FA 김하성(30)을 향한 미국 언론의 관심이 끊이지 않고 있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은 16일(한국시간) "자유계약선수(FA) 김하성이 2025시즌 개막전에 출전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김하성이 2025시즌 어느 팀에서 뛸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어디에 가든 개막전에는 나서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MLB네트워크의 존 모로시에 따르면 김하성의 정규시즌 첫 경기가 4월이 아닌 5월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하성이 어깨 부상으로 인해 개막전에 결장할 것이란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해 8월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서 1루 귀루 도중 어깨를 다쳤고, 수술과 재활에 들어가 복귀가 올해 5월까지 늦춰질 수 있다는 소식이 이미 파다하게 퍼졌다.
어깨 부상은 한때 1억 달러 규모 계약도 가능하다고 평가받은 김하성의 가치가 하락한 주된 이유였다. 하지만 예상 계약 규모만 낮아졌을 뿐, 김하성의 행선지에 대한 미국 언론의 관심은 여전하다. MLB.com은 지난 13일에는 2024~2025시즌 포지션별 FA 분석에서 김하성을 소개한 데 이어 이날은 아예 김하성의 부상과 관련한 단신을 홈페이지 메인 소식 중 하나로 실었다.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SI) 등 팬 칼럼니스트 사이트에서 김하성의 거취는 초미의 관심사다.
지난해 김하성의 성적이 정규시즌 121경기 타율 0.233(403타수 94안타) 11홈런 47타점 22도루, OPS 0.700으로 저조한 것을 떠올리면 의외라고도 볼 수 있다.
부상과 저조한 성적에도 김하성의 거취가 주목받는 데에는 그가 지난 4년간 충분한 신뢰를 쌓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2021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를 통해 빅리그에 입성한 김하성은 4시즌 동안 540경기 타율 0.242(1725타수 418안타) 47홈런 200타점 229득점 78도루, 출루율 0.326 장타율 0.380 OPS 0.706을 마크했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108/2025/01/16/0003296638_002_20250116130111327.jpg?type=w647)
가장 높게 평가받는 건 유격수를 주 포지션으로 내야 어느 곳이든 평균 이상을 보여주는 수비다. 2022년 내셔널리그 골드글러브 유격수 부문 최종 후보 3인에 들면서 수비력을 인정받았고, 2023년에는 유틸리티 부문 골드글러브 수상까지 해내면서 가치가 치솟았다.
아직 수준급 유격수, 2루수를 찾는 팀이 많은 시장 상황도 호재다. 최근 도노반 솔라노 보강으로 영입을 마무리한 시애틀 매리너스를 비롯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보스턴 레드삭스, 뉴욕 양키스 등 포스트시즌 진출을 노리는 팀들이 계속해서 주전 2루, 유격수를 맡아줄 선수를 물색 중이다. 가장 최근에는 미국 매체 뉴스 위크가 "샌디에이고의 스타 내야수 김하성은 절망적인 내셔널리그 구단 애틀랜타와 6000만 달러(약 883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소문이 사실이라면 김하성이 수비에 있어 치명적인 어깨 부상을 당했지만, 건강하게 복귀한다면 이만한 선수가 없다고 현지에서는 바라보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년간 대체 선수 대비 승리기여도(WAR)를 합산하면 김하성은 6.9승으로 8승의 윌리 아다메스(30·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이어 이번 FA 시장 유격수 중 2위였다.
일찌감치 미국으로 출국한 김하성은 재활에 매진하며 더 적절한 제안을 기다리고 있다. 메이저리그 스프링캠프 소집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김하성이 과연 오랜 고민 끝에 어느 팀을 선택할지 한·미 야구팬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108/2025/01/16/0003296638_003_20250116130111347.jpg?type=w647)
-
더 벌어지면 힘든 현대건설, 연패 탈출 시급한 정관장…갈 길 바쁜 두 팀의 5R 대결, 누 N 25-02-07 13:04:33
-
'오심 인정' 심판에 엄지 척, '따봉' 외친 브라질 출신 감독...하지만 의미가 달랐다 N 25-02-07 13:04:06
-
4년 만에 흥국 컴백, 31살 리베로 투혼에…"무릎 통증 안고 뛰지만, 끝까지 잘할 것 N 25-02-07 13:03:20
-
‘레전드 조던’ 이름에 먹칠한 아들의 입장은?···‘음주운전· 마약소지’ 마커스 “사생활 N 25-02-07 13:02:32
-
[NBA] '커리가 직접 설득했으나...' 듀란트는 끝까지 골든스테이트행 거부 N 25-02-07 13:01:36
-
1689
‘24:19→27:29’ 통한의 역전패…강성형 감독의 한숨 “정관장 원투펀치 위력 대단했다
25-01-23 01:30:38 -
1688
"극복해야 한다"...또 휴업 돌입한 '공격수' 이소영, 딜레마 빠진 김호철 감독
25-01-22 17:58:06 -
1687
'어떻게 내가 돌아왔는데'…울분과 분노로 숙연해진 배구 코트 [곽경훈의 현장]
25-01-22 17:57:37 -
1686
SK의 ‘돌격대장’ 김선형 “내 속공 능력도 알파고처럼 계속 발전”
25-01-22 17:56:23 -
1685
'엘리트 농구부 출신' 원주 YKK 지현우, 선수반 트레이닝 통해 다시 선수 도전!
25-01-22 17:55:56 -
1684
시즌 19번째이자 4G 연속 트리플더블 니콜라 요키치 앞세운 덴버, 엠비드 없는 필라델피아
25-01-22 17:55:34 -
1683
‘다저스맨’ 사사키, LA 레이커스 응원···LA팬에 인사, 르브론·하치무라와 포옹
25-01-22 17:55:04 -
1682
'바르셀로나 합의 완료' 래시포드, 이적에 진심..."샐러리캡 여유 생길 때까지 기다릴 것
25-01-22 17:54:32 -
1681
"손흥민(33·나폴리)? 불가능한 쿠데타 NO!"…콘테 러브콜에 이탈리아행 돌출
25-01-22 17:53:58 -
1680
허정무 축구협회장 후보, 스포츠공정위에 ‘정몽규 연임 심사’ 재심의 요구
25-01-22 17:52:51 -
1679
정몽규, 통영 대학축구대회 결승전 및 전북축구협회장 이취임식 방문
25-01-22 17:52:33 -
1678
3년 1005억 최종 제안도 거절→메츠도 철수, '홈런왕'은 갈 곳이 없다
25-01-22 17:52:09 -
1677
'日 괴물→100마일 좌완 불펜→ERA 1.17 클로저마저' LAD의 투수 싹쓸이, 이유
25-01-22 17:51:36 -
1676
‘5억’ 김도영 다음은 ‘4억 5천’ 박찬호…부상 이의리 동결, 곽도규 KIA 투수 최고
25-01-22 17:50:52 -
1675
'프로야구 규정 이렇게 바뀝니다'… '아시아쿼터제' 내년부터 도입
25-01-22 17:50:15 -
1674
김연경 클러치 능력 미쳤다! 흥국생명, IBK기업은행 3-1 잡고 선두 수성…2위 현대건설
25-01-22 00:40:54 -
1673
이탈리아 공격수 5G 만에 방출, 대체자는 10점도 버겁다…MVP를 왜 포기했을까, 7년
25-01-22 00:39:06 -
1672
‘35억 쓰고도 봄배구 적신호’ IBK기업은행 vs ‘마테이코 기복, 후반기 1승2패’ 흥
25-01-22 00:37:21 -
1671
‘女배구 국내 최장신’ 염어르헝의 시계가 다시 돌아간다… 후반기 ‘완주’를 향해
25-01-22 00:35:30 -
1670
180cm 단신인데, FA 최대어 다음이라니…"블로킹 재미 알았다" MB 출신 감독도 인정
25-01-22 00:33:37 -
1669
한 명이라도 배신하면 충격! 이치로의 대업, '지터도 못한 일' HOF 만장일치? 곧 발표
25-01-21 23:57:14 -
1668
김도영, 이견 없었던 KBO 신화 창조… 이제 '도장깨기' 시작됐다, 이정후 이름 어디까지
25-01-21 23:55:47 -
1667
김연경 "기복은 당연해, 우승 향해가고 있다는 것 자체가 긍정적"
25-01-21 23:53:42 -
1666
맨시티, 1천억 우즈베크 센터백 영입...아시아 축구 '新 바람'
25-01-21 23:51:55 -
1665
'손흥민은 충분히 참았다'…에버튼전 패배 후 야유한 토트넘팬 비난
25-01-21 23:5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