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이닝 연속 피홈런 0' 한화 160㎞ 파이어볼러, 되찾은 압도적 구위... 여기에 떨
2025-02-03 23:51:45 (10일 전)
![](https://imgnews.pstatic.net/image/108/2025/02/03/0003300345_001_20250203215607592.jpg?type=w647)
김진경 대기자한화 이글스 김서현(21)이 던지는 걸 보면 왜 메이저리그가 빠른 공 투수들을 선호하는지 직감적으로 알게 된다.
평균 시속 150㎞, 트랙맨 기준 최고 160.7㎞에 달하는 빠른 구속과 그에 동반된 묵직한 구위는 타자가 스트라이크존 한복판에 공이 들어와도 좀처럼 정타를 못 치게 한다. 빠른 공에 타이밍을 못 맞춰 빗맞은 타구를 생산하거나 크게 헛스윙할 뿐이다. 그 매력은 메이저리그가 웬만큼 제구되는 투수보다 빠른 공과 구위를 지닌 유망주를 먼저 스카우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서울고 시절부터 김서현은 메이저리그에 도전할 수 있는 유망주로 꼽혔다. KBO 리그에 와서도 왜 그런 말을 들었는지 구위로 입증하고 있다. 실제로 김서현은 2023년 1군 데뷔 후 홈런을 맞은 적이 한 번뿐이다. 2023년 4월 28일 대전 NC 다이노스전에서 오영수에게 맞은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이후로는 55이닝 연속 0피홈런이다.
해당 기간 김서현이 최고의 기량을 보인 건 아니었다. 오히려 1군과 2군을 오고 가며 투구폼을 바꾸는 등 시행착오의 시간이었다. 제구를 잡는다는 목적 하나로 투구폼에 여러 변화를 줬다. 그러나 오히려 직구 구속이 떨어지는 등 본인의 장점을 갉아먹는 최악의 결과가 나왔다. 그렇게 데뷔 시즌을 20경기 22⅓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7.25로 마쳤다.
2년 차인 지난해는 발전이 있었다. 시즌 도중 부임한 김경문 감독과 양상문 투수코치의 믿음 아래,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은 것이 컸다. 본인이 가장 편한 투구폼으로 돌아오면서 구속이 회복됐고, 압도적인 구위를 선보이며 37경기 1승 2패 10홀드, 38⅓이닝 43탈삼진으로 2024년을 마무리했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108/2025/02/03/0003300345_002_20250203215607629.jpg?type=w647)
한화 이글스 제공
자신의 공에 믿음이 생긴 만큼 김서현은 이번 오프 시즌도 투구폼에는 크게 손대지 않고 밸런스를 잡는 데 최대한 초점을 맞췄다. 변화를 준 부분이 있다면 구종 추가다. 특히 지난해 첫 태극마크를 달았던 2024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대회에서 최일언 당시 국가대표팀 투수 코치가 가르쳐준 체인지업 장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월 호주 스프링캠프 출국 전 김서현은 "떨어지는 구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최일언 코치님이 체인지업을 잘 쓸 수 있는 법을 알려주셔서 비시즌 동안 많이 연습했다. 스프링캠프에서 연습하다 보면 밸런스가 지난해보다 일정해지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김서현은 서울고 시절부터 변화구 습득이 빨라 다양한 공을 던지는 걸로 유명한 투수였다. 프로에서는 직구, 슬라이더 투 피치 투수로 활약했는데, 그중 슬라이더는 한때 스카우트들이 스플리터로 착각할 만큼 독특한 궤적으로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직구와 비슷한 궤적으로 떨어지는 체인지업이 더해진다면 강속구는 더욱 힘을 얻게 된다. 또한 지난해 피안타율 0.159, OPS(출루율+장타율) 0.496으로 우타자에 강했던 것과 달리 피안타율 0.267, OPS 0.802로 약했던 좌타자를 극복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김서현은 "나는 구속에 연연하고 싶지 않다. 구속이 빠른 투수가 변화구를 못 던지는 것도 아니다. 나는 솔직히 변화구를 많이 쓰면서 많은 재미를 봤다. 이번 시즌에는 직구만 빠른 투수가 아니라 변화구도 제구되는 투수로 기억에 남았으면 한다"고 당찬 포부를 밝혔다.
-
시즌 개막 7개월 만에 바이에른 뮌헨 데뷔전 성공…일본 수비수 이토 '평가 불가능 활약이었 N 25-02-13 23:58:36
-
롯데-두산 트레이드 곁가지가 아니었다? 이승엽도 놀랐다, 메인칩이 달라질 수 있다 N 25-02-13 23:57:15
-
8연승 기쁨 잊게 만든 폭탄선언...김연경 "올 시즌 끝으로 성적 상관없이 은퇴" N 25-02-13 23:54:08
-
英언론도 충격받았다 “찰스 국왕, 손흥민에게 당황스러운 질문 했다” N 25-02-13 23:52:40
-
신본기 예언 적중! '김진욱 난조+2회 교체→박진 3이닝 호투→8회 결승 만루포 허용' 롯 N 25-02-13 23:47:10
-
1768
‘프쪽이’ 폭탄 또 터졌다! 4연패 동안 U파울+T파울 6회+퇴장 2회…현대모비스 인내심도
25-01-27 00:29:56 -
1767
LAL, 미국 국대 출신 216cm 거미손 센터에 강한 관심... 갈매기의 꿈 이뤄질까?
25-01-27 00:27:58 -
1766
이종범이 극찬한 이정후 친구, 방출 아픔 딛고 새출발 "활기찬 모습으로 분위기 메이커 되고
25-01-26 23:47:02 -
1765
'K리그가 최우선' 복귀길 열린 손준호, 사실 기각 발표 전부터 해외 러브콜 많았다
25-01-26 23:45:50 -
1764
"제가 오타니입니다" 통역이 오타니로 둔갑→몰래 245억 빼돌리다 들통
25-01-26 23:44:48 -
1763
"죽도록 뛰라 요구" 손흥민, 이번에도 못 쉰다…레스터전 선발 출전, 양민혁은 벤치
25-01-26 23:43:57 -
1762
'김민재보다 다이어?' 분데스도 인정했는데…獨 언론 평가 '다이어 압승'
25-01-26 23:42:42 -
1761
“서로 존중하는 사이” V-리그 코트에서 다시 만난 두 브라질 감독의 인연
25-01-26 15:22:32 -
1760
"블로커가 나에게 2명이 오니까..." 득점하는 MB에 '배구 여제'의 팩트 폭행
25-01-26 15:21:25 -
1759
천적을 만나는 신한은행, BNK를 상대로 시즌 첫 승 도전
25-01-26 15:20:44 -
1758
‘3연패’ 김효범 감독 “면담 통해 밸런스…2m7㎝ 스트레치4 지켜보자”
25-01-26 15:20:19 -
1757
"대체로 올 수 없는 선수인데..." 조니 오브라이언트 활약에 웃는 김상식 감독
25-01-26 15:19:47 -
1756
'선발 5명 123득점 합작' 뉴욕, SAC 수비 활활 태우며 3연승
25-01-26 15:19:27 -
1755
‘르브론 더블더블·AD 36점 폭발’ LAL, 커리 부진한 GSW 꺾고 3연승 질주
25-01-26 15:19:00 -
1754
"나도 울고 싶다" 말도 안 통하고 3분 만에 대형 사고...맨시티 600억 신입생, 데뷔
25-01-26 15:18:08 -
1753
'해트트릭 작렬' 음바페, 최근 5경기 7골 폭발→'레알 역사상 최악의 먹튀' 4년간 기록
25-01-26 15:16:15 -
1752
'김진수 자리 메웠다' 절치부심한 전북, 인천에서 '국대 풀백' 최우진 '전격 영입'
25-01-26 15:15:28 -
1751
토트넘 매디슨이 칭찬했던 그 유망주! 2006년생 윤도영, PL 관심 쏟아진다…
25-01-26 15:14:44 -
1750
또 영입한다고? 다저스 지갑은 지금도 열려있다…"2865억짜리 'FA 최대어' 계약 가능"
25-01-26 15:14:06 -
1749
"내가 오타니입니다" 무려 244억 빼돌린 前 통역, '불법 송금' 가능했던 이유 드러났다
25-01-26 15:13:34 -
1748
KT 역대급 내야 교통정리 어쩌나…‘출국’ 이강철 감독 “허경민 3루수 고정
25-01-26 15:12:37 -
1747
'포백호' 정말 현실 되나...그의 포지션 따라 요동칠 FA 시장, KT는 이미 방아쇠를
25-01-26 15:11:47 -
1746
반가움에 무장해제 미소, 현대캐피탈 허수봉이 두 팔 벌려 반긴 이 남자는?
25-01-26 00:48:24 -
1745
"마테이코만 있는게 아냐." 김연경이 있으니까... 1위 흥국생명, 2위 현대건설에 충격의
25-01-26 00:46:49 -
1744
“나보고 한국에서 뛸 준비 안 됐다고 한 사람들 잘 봐라” 실바의 외침
25-01-26 00:4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