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수 17홈런+두 자릿수 도루'에도 매력 어필 실패...권희동과는 다른 상황
2025-01-17 15:42:27 (21일 전)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1_20250117144008471.jpg?type=w647)
일발 장타력과 준수한 수비력을 갖춘 주전 중견수였지만, 시장의 평가는 냉정했다. 끝내 생산력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NC 다이노스는 지난 16일 "FA 외야수 김성욱(32)과 2년 최대 3억 원(계약금 5,000만 원, 연봉 2억 원, 옵션 5,000만 원)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2012 신인 드래프트 3라운드 지명을 받고 NC 유니폼을 입은 김성욱은 한 번도 팀을 떠나지 않은 '원클럽맨'이다. 본격적으로 1군에 자리 잡기 시작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100경기 이상 나서며 출전 기회를 보장받았다. 지난해엔 129경기에 출전해 타율 0.204 17홈런 60타점 10도루를 기록했다.
김성욱은 규정타석을 다 채우지 못하고도 리그 중견수 중 가장 많은 홈런과 두 번째로 많은 타점을 때려냈다. 팀 내에서도 두 번째로 많은 홈런과 네 번째로 많은 타점을 올릴 만큼 타선 내 비중이 작지 않았다.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한 시즌이 4번일 정도로 주력도 나쁘지 않다. 2018시즌(13홈런-11도루)과 2024시즌엔 '호타준족'의 상징인 두 자릿수 홈런-두 자릿수 도루를 달성하기도 했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2_20250117144008535.jpg?type=w647)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3_20250117144008553.jpg?type=w647)
하지만 지난 시즌 종료 후 FA 시장에 나온 김성욱에 대한 평가는 냉정하다 못해 잔혹했다. 생산력 문제였다. 김성욱의 지난해 타율은 2할을 겨우 넘겼고 통산 타율도 0.238로 정교한 타격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2024시즌 출루율도 0.291로 3할을 넘지 못했다. 지난해 규정타석을 채운 선수 중 가장 출루율이 낮았던 황재균이 0.309였다.
이렇듯 생산력 측면에서 큰 약점을 드러낸 김성욱은 FA 등급이 C등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타 팀의 관심에서 점점 멀어져갔다. 결국 원소속팀 NC 잔류로 가능성이 좁혀졌고 다소 아쉬운 계약 규모에 도장을 찍었다.
NC로서도 김성욱을 놓쳤을 때 대안이 있었다. 지난 시즌 주전 외야수였던 박건우, 권희동과 더불어 꾸준히 1군에서 모습을 드러낸 천재환, 최정원, 박시원 등 백업 자원도 탄탄했다. 거기다 최근 이호준 NC 감독이 외국인 타자 맷 데이비슨을 올해 지명타자로 기용할 뜻을 밝히면서 최근 2년 지명타자 역할을 맡았던 손아섭까지 외야 경쟁 구도에 뛰어들 전망이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4_20250117144008569.jpg?type=w647)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5_20250117144008588.jpeg?type=w647)
여러 팀 내 사정으로 김성욱의 입지는 크게 줄어들었다. 2년 전 권희동과 같은 '극적 반전'을 노릴 수도 있지만, 그것 역시 출장 기회가 보장돼야 가능한 일이다.
권희동은 데뷔 이후 꾸준히 3할 중후반대 출루율을 기록했다. 2021시즌엔 코로나19 방역수칙위반 징계로 표본이 많지 않았지만, 4할대(0.406) 출루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른바 타선에서 계산이 서는 선수였고 '헐값 FA' 계약 이후에도 꾸준히 1군에서 기회를 받을 수 있었다.
김성욱은 반대다. 통산 출루율이 0.311로 3할을 조금 웃돌았다. 타율과 출루율의 차이가 0.1을 넘은 시즌이 한 번도 없을 만큼 선구안에서 약점을 드러낸 전형적인 '공갈포형' 타자다. 김성욱이 다가오는 시즌 1군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기회를 받으려면 극적인 변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6_20250117144008607.png?type=w647)
![](https://imgnews.pstatic.net/image/139/2025/01/17/0002217149_007_20250117144008685.jpg?type=w647)
-
324
"김민재, 나처럼 많은 비판 받았지만" 파트너까지 인정했다…"같이 뛰는 거 잘 맞아,
24-10-21 06:33:22 -
323
류현진과 함께했던 괴수의 아들이 토론토에 뼈를 묻는다?
24-10-21 06:06:18 -
322
이대로 '4450억 먹튀'로 남나 했는데... CS 4홈런 '대반전', ML 15년
24-10-21 06:04:50 -
321
'충격' 美 언론, "다저스 커쇼, 선수옵션 거부하고 FA 될 수 있다"
24-10-21 06:03:31 -
320
오타니,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번엔 고(GO)…생사의 책임은 다저스가 진다
24-10-21 05:59:40 -
319
양키스 월드시리즈 이끈 ‘3억 달러 욕받이’
24-10-21 05:58:35 -
318
슬롯볼 미쳤다! ‘살라 1골 1도움’ 리버풀, 첼시에 2-1 승→공식전 7연승+리그 선두
24-10-21 03:38:12 -
317
젠지, FLY와 풀세트 혈투 끝에 월즈 4강 진출
24-10-21 02:37:29 -
316
‘돌아온 캡틴’ 박지성과 응원가로 화답한 6만 4천 명의 팬
24-10-21 02:36:05 -
315
"오타니 뇌정지 온 것 같았다" 로버츠 한마디에 뉴욕 언론도 깜짝 "잔인할 정도로 솔직했다
24-10-20 12:46:09 -
314
[NBA] "꿈은 현실이 된다" 커리와 만남→투웨이 계약…'기적의 시간' 보낸 신인 가드,
24-10-20 12:38:22 -
313
‘4Q 5분 29초’ 원주서 귀신 본 KBL 심판진, 알바노의 ‘블루투스 파울’ 선언…‘하
24-10-20 12:36:13 -
312
가스공사 쓰리 가드 가동 시간 3분 11초, 득실 편차 -5점
24-10-20 12:34:29 -
311
172cm 단신 거인의 기적→일본 국대 가드 카와무라, 투웨이 계약 따냈다...
24-10-20 12:31:44 -
310
"명백한 그라운드 '테러' 분노" 토트넘 3명 때린 웨스트햄 악동, '경고→퇴장'…감독도,
24-10-20 11:56:32 -
309
"해고된 퍼거슨은 OT에 나타나지 않았다!"…텐 하흐도 분노 폭발, "맨유에 여전히 퍼거슨
24-10-20 11:52:42 -
308
[공식발표] '과반수 넘는 인원이 손흥민을 택했다'...이것이 '한국+토트넘의 캡틴'→PL
24-10-20 11:49:42 -
307
다시 벽이 된 김민재 앞에서 분데스 최강 투톱도 '무기력', 수비+빌드업 '만점활약'...
24-10-20 11:45:50 -
306
이강인 개인 리그앙 최다골까지 터지자...PSG 감독 "우린 더 이상 개인에 의존하지 않아
24-10-20 11:43:02 -
305
손흥민, 새 별명 생겼다! '샤프(Sharp) SON' 무자비하게 효율적 ← 英미러 극찬
24-10-20 09:28:19 -
304
‘후방 빌드업 중심’ 김민재 풀타임+케인 해트트릭 대폭발! 뮌헨, 슈투트가르트에 4-0 대
24-10-20 03:40:25 -
303
''1골+1자책골 유도+1골대' 손흥민, 웨스트햄전 평점 1위 싹쓸이…이게 바로 에이스!
24-10-20 03:37:06 -
302
'맨유, 드디어 텐 하흐 경질하나'... 3명의 후보 공개→"맨유에 정말 관심 있는 감독도
24-10-20 00:38:55 -
301
[속보] 미쳤다, 손흥민! ‘복귀전 복귀골’ 터졌다! 리그 3호 골 폭발!···토트넘 4-
24-10-20 00:35:36 -
300
이승엽 스승, 1년 만에 두산 떠난다…박흥식 수석코치+김한수 코치 등 6명 재계약 불가
24-10-19 12:2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