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이닝 연속 피홈런 0' 한화 160㎞ 파이어볼러, 되찾은 압도적 구위... 여기에 떨
N
2025-02-03 23:51:45 (8시간 전)
김진경 대기자한화 이글스 김서현(21)이 던지는 걸 보면 왜 메이저리그가 빠른 공 투수들을 선호하는지 직감적으로 알게 된다.
평균 시속 150㎞, 트랙맨 기준 최고 160.7㎞에 달하는 빠른 구속과 그에 동반된 묵직한 구위는 타자가 스트라이크존 한복판에 공이 들어와도 좀처럼 정타를 못 치게 한다. 빠른 공에 타이밍을 못 맞춰 빗맞은 타구를 생산하거나 크게 헛스윙할 뿐이다. 그 매력은 메이저리그가 웬만큼 제구되는 투수보다 빠른 공과 구위를 지닌 유망주를 먼저 스카우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서울고 시절부터 김서현은 메이저리그에 도전할 수 있는 유망주로 꼽혔다. KBO 리그에 와서도 왜 그런 말을 들었는지 구위로 입증하고 있다. 실제로 김서현은 2023년 1군 데뷔 후 홈런을 맞은 적이 한 번뿐이다. 2023년 4월 28일 대전 NC 다이노스전에서 오영수에게 맞은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이후로는 55이닝 연속 0피홈런이다.
해당 기간 김서현이 최고의 기량을 보인 건 아니었다. 오히려 1군과 2군을 오고 가며 투구폼을 바꾸는 등 시행착오의 시간이었다. 제구를 잡는다는 목적 하나로 투구폼에 여러 변화를 줬다. 그러나 오히려 직구 구속이 떨어지는 등 본인의 장점을 갉아먹는 최악의 결과가 나왔다. 그렇게 데뷔 시즌을 20경기 22⅓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7.25로 마쳤다.
2년 차인 지난해는 발전이 있었다. 시즌 도중 부임한 김경문 감독과 양상문 투수코치의 믿음 아래,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은 것이 컸다. 본인이 가장 편한 투구폼으로 돌아오면서 구속이 회복됐고, 압도적인 구위를 선보이며 37경기 1승 2패 10홀드, 38⅓이닝 43탈삼진으로 2024년을 마무리했다.
한화 이글스 제공
자신의 공에 믿음이 생긴 만큼 김서현은 이번 오프 시즌도 투구폼에는 크게 손대지 않고 밸런스를 잡는 데 최대한 초점을 맞췄다. 변화를 준 부분이 있다면 구종 추가다. 특히 지난해 첫 태극마크를 달았던 2024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대회에서 최일언 당시 국가대표팀 투수 코치가 가르쳐준 체인지업 장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월 호주 스프링캠프 출국 전 김서현은 "떨어지는 구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최일언 코치님이 체인지업을 잘 쓸 수 있는 법을 알려주셔서 비시즌 동안 많이 연습했다. 스프링캠프에서 연습하다 보면 밸런스가 지난해보다 일정해지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김서현은 서울고 시절부터 변화구 습득이 빨라 다양한 공을 던지는 걸로 유명한 투수였다. 프로에서는 직구, 슬라이더 투 피치 투수로 활약했는데, 그중 슬라이더는 한때 스카우트들이 스플리터로 착각할 만큼 독특한 궤적으로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직구와 비슷한 궤적으로 떨어지는 체인지업이 더해진다면 강속구는 더욱 힘을 얻게 된다. 또한 지난해 피안타율 0.159, OPS(출루율+장타율) 0.496으로 우타자에 강했던 것과 달리 피안타율 0.267, OPS 0.802로 약했던 좌타자를 극복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김서현은 "나는 구속에 연연하고 싶지 않다. 구속이 빠른 투수가 변화구를 못 던지는 것도 아니다. 나는 솔직히 변화구를 많이 쓰면서 많은 재미를 봤다. 이번 시즌에는 직구만 빠른 투수가 아니라 변화구도 제구되는 투수로 기억에 남았으면 한다"고 당찬 포부를 밝혔다.
- '55이닝 연속 피홈런 0' 한화 160㎞ 파이어볼러, 되찾은 압도적 구위... 여기에 떨 N 25-02-03 23:51:45
- '불법 도박 스캔들+재계약 거부' 결국 떠난다...완전 이적 옵션 포함 임대 N 25-02-03 23:50:22
- 신유빈, 전지희와 맞대결에서 승리…아름다운 마지막 인사 N 25-02-03 23:49:04
- 한국기원, 커제의 ‘사석 논란’ 반칙패 규정 폐지…“세계대회 정상적 개최” N 25-02-03 23:48:12
- 토트넘 17년간 'NO 트로피', 손흥민은 다르다…"이제 리그컵 준결승에 집중할 때" N 25-02-03 23:47:11
-
99
'맨유 NO, 英 국대 YES' 투헬 구직전략 급선회, 임시체제 잉글랜드 국대감독 협상 중
24-10-12 09:54:50
-
98
"KIM도 벌벌 떨어야 한다"...獨 매체, 김민재 벤치행 예고→이토 '완벽한 재활'
24-10-12 09:53:02
-
97
'Goodbye, 강인' 벤치 전락→결국 1년 만에 방출 수순…
24-10-12 09:49:25
-
96
토트넘, '800억 돈 받고' 끝내 손흥민 사우디에 팔까
24-10-12 09:46:49
-
95
김하성 1년 2105만 달러 깔고 간다? 내일이 마지막 날인가
24-10-12 05:57:45
-
94
프리미어12 불발됐지만, 日 '165km' 괴물 투수
24-10-12 03:20:43
-
93
3888억원 천재유격수의 허무한 가을야구 퇴장…
24-10-12 03:15:59
-
92
오타니 바람대로 '야마모토 vs 다르빗슈' 얄궂은 대결… 하지만 '첫 번째 투수'일 뿐이다
24-10-12 03:13:34
-
91
‘사이영상 에이스’ 게릿 콜 역투, 4377억 투수 다웠다
24-10-12 03:07:06
-
90
잉글랜드전 승리, 하늘에 있는 볼독에 바칩니다" 그리스, 동료 죽음 하루 뒤 '감동의 투혼
24-10-11 16:52:45
-
89
'15경기' 만에 경질 당한 루니 맞나?...9월 '이달의 감독' 후보 등극
24-10-11 16:51:24
-
88
손흥민, 10년간 164골 넣었는데…토트넘 "SON과 1년만 계약 연장"
24-10-11 16:50:08
-
87
대표팀 탈락 보약 됐네’ 10대 아이콘 양민혁 2차 성장, 파이널 앞둔 강원FC 웃는다
24-10-11 16:48:42
-
86
4승 1무’ 충남아산 김현석, 9월 이달의 감독상
24-10-11 16:47:17
-
85
'2000년대생 듀오'의 비상…홍명보호, 승리 만큼 값진 소득 얻었다
24-10-11 16:45:29
-
84
日매체, 홍명보 용병술 주목 "배준호·오현규 동시 교체가 추가골 만들어"
24-10-11 16:37:21
-
83
이영표 “이라크, 최근 7경기 6승1무···최종예선 가장 중요한 일전”
24-10-11 16:20:27
-
82
몸값 비싼데 성적 왜 그래?"… 일본 기자 조롱에 발끈한 만치니
24-10-11 16:19:08
-
81
'신태용 분노 폭발'...들끓는 인니 여론 "AFC 회장이 바레인 국적이기에 편파 판정 나
24-10-11 16:17:50
-
80
'반 니스텔루이, 호날두 울렸었다'... 호날두 아버지가 돌아가신 순간에 말다툼→펑펑 운
24-10-11 12:47:00
-
79
'도핑 위반' 포그바, 새로운 팀 찾았다! '前 맨유 동료' 그린우드 있는 마르세유 입단
24-10-11 12:43:23
-
78
'맨시티 입단 예정이었는데'... 1172억 미드필더, 휴대폰까지 버렸다→"PL 평생 출전
24-10-11 12:29:20
-
77
"떠나기로 결정한 이유? 감독은 절 신뢰하지 않았습니다"...'13년' 인연 끝낸 이유
24-10-11 12:19:22
-
76
'164골-86도움-3억 3500만원' 손흥민, '연장계약 추진' 토트넘 결국 기대 없는
24-10-11 12:11:22
-
75
'10년 헌신' 손흥민에 레전드 대우는 무슨...토트넘, 재계약 없다→1년 연장 발동 유력
24-10-11 07:2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