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 뒤 석방 전날 성폭행
2018-05-09 12:00:22 (7년 전)
“왜 또? 엄마, 할 말 다 안 했어?”
딸에게도 그 일만은 숨기고 싶었다. 그래도 인터뷰를 반대하는 딸을 설득해야 했다. 차마 말로는 하지 못하고 글을 적어서 보여줬다. “나를 차에 태워서 밖으로 나가서 밥을 먹인 뒤, 나를 끌고 여관으로 갔어요. 나는 그때 저항할 수가 없었어요. 스물세살 나를, 그 수사관이 짓밟고 나서….” 딸이 눈물을 글썽이며 엄마를 꼭 안았다.
5·18 민주유공자 김선옥(60)씨는 지난 4일 서울의 한 카페에서 만나 전날 딸(37)과 나눈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얼마 전에 여검사가 미투를 해서 38년 만에 나도 용기를 냈다”며 그동안 묻어뒀던 이야기를 담담히 털어놓았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때 그는 운동권 학생이 아니었다. 전남대 음악교육과 4학년이었던 그는 5월22일 책을 사러 시내에 나갔다가 학생수습대책위원회를 맡아 도청에 들어갔다. 상황실에서 출입증, 유류보급증, 야간통행증, 무기회수 등의 업무와 안내 방송을 하는 역할을 했다.
계엄군이 광주 무력진압을 시작한 5월27일 새벽 3시. 그는 시민군 거점이던 옛 전남도청을 빠져나왔다. 잠시 몸을 피했다가 창평중에 교생실습을 나갔던 김씨는 그해 7월3일 학교에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수사관들에게 옛 광주 상무대 영창으로 연행됐다. “가니까 ‘여자 대빵 데리고 왔구먼. 얼굴이 반반하네. 데모 안 하게 생긴 년이. 너 이년, 인자 무기징역이다’라고 하더라고요.”
폭행과 고문의 시작이었다. “처음엔 막 들어가자마자 발로 지겨불고(짓누르고) 엄청나게 때리더라고요. 여기 이마가 폭 들어간 데가 있는데 그때 책상 모서리에 찧어서 그래요. 피가 철철 나면서 정신없이 맞았어요.”
폭행과 고문으로 점철된 조사가 끝날 무렵인 9월4일 소령 계급을 달고 계장으로 불리던 그 수사관은 김씨를 밖으로 데리고 나갔다. 그리고 비빔밥 한 그릇을 사줬다. 오랜만에 본 햇살이 눈부셨던 날 김씨는 인근 여관으로 끌려가 대낮에 그 수사관한테 성폭행을 당했다. “그 전에 죽도록 두들겨맞았던 일보다도 내가 저항하지 못하고 당했다는 사실 때문에 지금까지 비참했어요. 자존심과 말할 수 없는 수치감….” 9월5일까지 꼬박 65일 동안 구금됐던 그는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김씨는 그 사건 이후로 삶이 산산조각 났다. 방황하면서 만난 남자와의 사이에서 딸을 임신했다. 수면제를 먹고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김씨의 엄마는 충격을 받은 뒤 급성간암으로 세상을 떴고, 초등학교 교사였던 아버지도 교직에서 쫓겨났다. “가까운 사람들을 모두 잃어버리고 아무도 만날 수가 없게 된 거예요.” 1981년 겨울 첫눈 오는 날 혼자 딸을 출산했다. 교육청에 진정서를 내 1983년 중학교 음악교사로 발령을 받았다. 5·18의 ‘5’ 자도 꺼내지 않고 숨어 살았다. 오직 딸이 삶의 전부였다.
그러다가 암에 걸렸다. 2001년 유방암 수술을 받았다. 아마도 가슴에 묻어둔 슬픔 때문에 생긴 병이 아닐까 그는 생각했다. 그때 처음으로 한 대학 후배한테 5·18 보상 이야기를 들었다. 그 후배가 가져온 5·18 민주유공자 보상 신청서에 이렇게 적었다. “내 인생을 보상한다고요? 얼마를 주실 건데요? 무엇으로, 어떻게 내 인생을 보상하려고요? 뭘?” 보상금으로 2000만원을 받았다. 허망했다. 2010년 10월 딸이 결혼하고 난 뒤 이듬해 3월 학교를 그만뒀다. 이후 처음으로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눈물을 쏟았다.
그에게 5·18은 현재형이다. “가끔 나 혼자 먼 데 가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잠도 잘 못 자. 사람과의 관계도 잘 못하고. 남들은 결혼해서, 시가에서 남편하고 어쩌고저쩌고하는데 나는 5·18로 멈춰져버렸어요. 그 뒤로 딸 키우려고 아등바등 산 거밖에 없어. 할 이야기가 없어요.” 김씨는 “지금도 군인들이 나오는 영화는 잘 보지 못해요”라고 했다. “전두환이 텔레비전에 나오면 ‘저놈 오래 살 것이다’라고 하면 딸이 막 웃어.”
김씨의 사연은 10일부터 광주시 서구 치평동 자유공원 안에서 5·18기념문화센터 주최로 열리는 ‘5·18영창특별전’에 공개된다. 23개의 광주 상흔을 담은 방 중 열번째 ‘진실의 방’에 ‘무너진 스물세살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그간의 삶을 드러내는 일에 동의했다. 이 방에 들어서면 한쪽 벽 전면에 꽃과 노랑나비들이 눈에 들어온다. 나비처럼 그가 받은 고통과 편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날아오를 수 있을까? 김씨는 “몇 달 전 미투 폭로를 보면서 그 나쁜 놈을 죽이고 싶었습니다”라며 멀리 하늘을 바라봤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3649.html#csidxff83357d345686184ce3ffa5d36ff34
자기 신상까고 재발방지 원하는 미투가 진짜 미투인데
미투 조롱거리 다 되고나서 용기내서 미투하신 것 같은데 착잡하네
-
공지 유머게시판 경험치 및 포인트 지급 안내 24-08-22 00:31:38
-
19601
바른미래당이 망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
18-06-14 11:41:42 -
19600
??? : 각하, 작전성공입니다 이제 앞만 보고 가십쇼
18-06-14 11:41:42 -
19599
현재 아메리카 갓 탤런트에서 핫하게 떠오르는 소녀
18-06-14 11:41:42 -
19598
결국 해외로 까지 유출 당한...
18-06-14 11:41:42 -
19597
왜 정치인은 다 남자냐...여성 없으면 무효표 SNS운동 확산
18-06-14 11:41:42 -
19596
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 트윗 ㅎㄷㄷ
18-06-14 11:41:42 -
19595
사실 2012년에 온 세계가 무정부상태가 될 뻔했던 지구
18-06-14 11:41:42 -
19594
ㅎㅇ
18-06-14 06:10:53 -
19593
개 발리네
18-06-13 23:52:39 -
19592
와우..이거 둘이 다 마셔야 이루어짐?
2
18-06-13 18:57:40 -
19591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가 빨리 종영할수밖에 없었던 이유
18-06-13 17:37:18 -
19590
미군이 알려주는 칼든 강도 대처 방법
18-06-13 17:37:18 -
19589
투철한 프로 의식
18-06-13 17:37:18 -
19588
원조 꿔바로우 먹방
18-06-13 17:37:18 -
19587
존나 답답하네... 먼저간다
18-06-13 17:37:18 -
19586
명동 길거리 음식들
1
18-06-13 17:37:18 -
19585
관성 드리프트
18-06-13 17:37:18 -
19584
서핑하다 지리는 순간
18-06-13 17:37:18 -
19583
경남 거창 투표소
18-06-13 17:36:48 -
19582
현재 지역별 투표율
2
18-06-13 17:36:48 -
19581
모자쓰고 투표하면 빨깽이 된다
18-06-13 17:36:48 -
19580
80년대 중국의 밤을 지배한 여인
18-06-13 17:36:48 -
19579
버니 샌더스 근황
18-06-13 17:36:48 -
19578
정치에 유난 떠는 친구
18-06-13 17:36:48 -
19577
최강소방관에 도전한 첫 여성
18-06-13 17:3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