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시골 마을의 물 분쟁
2018-01-19 15:18:26 (7년 전)
집에서 물을 쓰려면 수백 만원을 내야 하는 마을이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만들어준 급수 시설을 주민들이 관리하는 농촌 마을들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원래 살던 주민들이 이주해 온 주민들에게 이 물값을 요구한 건데 마을마다 제각각에,
주민들 갈등도 깊지만 지자체는 손을 놓고 있습니다.
밀착카메라 손광균 기자입니다.
강원도 정선군의 한 마을입니다.
이 뒤로 보이는 장치는 약 2년 전 지자체에서 설치한 급수시설입니다.
현재는 자물쇠로 잠겨 있는데요. 관리 권한 및 책임이 주민들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이 아래쪽에는 각 가정으로 물을 보내는 관들이 있는데요.
가까이에서 보니 '관계자 외에는 접근을 금지한다'는 엄중 경고가 붙어 있습니다.
도시와 다르게 상하수도관이 없는 이 마을에서는 예전부터 지하수를 끌어 올려 물탱크에 보관하는
소규모 급수시설에 의존해오고 있습니다.
공사 비용은 전액 지자체가 내는 대신, 관리 및 유지보수는 조례에 따라 주민들이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도시와 다르게 상하수도관이 없는 이 마을에서는 예전부터 지하수를 끌어 올려
물탱크에 보관하는 소규모 급수시설에 의존해오고 있습니다.
공사 비용은 전액 지자체가 내는 대신, 관리 및 유지보수는 조례에 따라 주민들이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이 마을 주민들은 2014년, 물 사용 관련 규칙인 이른바 '정관'을 만들었습니다.
수도 사용료 외에 기존 주민들은 1년에 한 번 10만원을 회비로 내고,
이사 오는 세대는 입회비로 200만원을 받기로 했습니다.
주민들 사이에 갈등이 시작된 건 마을로 이주한 한 주민이 입회비 납부를 거부하면서부터입니다.
결국 해당 이주민은 따로 급수시설을 설치해 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주민에 대한 입회비가 과도하다고 주장했던 또 다른 주민의 상황도 비슷합니다.
지난해 7월부터 물이 끊어진 집입니다. 부엌 싱크대 수도꼭지는 아무리 돌려도 물 한 방울 안 나오고요.
옆에는 페트병에 물을 조금 받아놨는데 사실상 요리와 설거지는 불가능합니다. 빨래도 마찬가지로 불가능하고요.
가장 큰 문제는 화장실 사용입니다. 화장실로 들어와 보면 양쪽에 페트병 수십 개가 쌓여 있는데,
단순히 씻고 변기를 쓰는 데에도 물이 많이 들어갑니다.
이 변기 물을 한 번 내리는 데에도 네통의 물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기존 마을 주민들은 자신들이 직접 물을 끊은 적은 없으며,
정관에 따라 입회비를 내지 않으면 급수를 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정선군 내에서 마을이 직접 관리하는 소규모 급수시설은 200개가 넘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만든 정관에 따라 물 관리 유지 비용과 부과 방식도 제각각입니다.
물값을 놓고 토착민과 이주민의 갈등이 커지고 있지만 해당 지자체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오랫동안 물 부족에 시달린 이곳 주민들 입장에서는 물이 그만큼 민감한 자원입니다.
더 이상 물을 두고 주민들의 민심이 반으로 갈라지지 않으려면 이제는 지자체가 나서야 하는 것 아닐까요?
-
공지 유머게시판 경험치 및 포인트 지급 안내 24-08-22 00:31:38
-
12350
과소비 지수
18-01-24 12:09:07 -
12349
피소 당한 박유천
18-01-24 12:09:07 -
12348
백반집 주방 청소하는 백종원
18-01-24 12:09:07 -
12347
대형 공기청정기
18-01-24 12:09:07 -
12346
한국 정부의 요청에 대한 중국 네티즌의 생각
18-01-24 12:09:07 -
12345
응답하라 2002
18-01-24 12:09:07 -
12344
새로 입사한 여직원이 기발한 만화
18-01-24 12:09:07 -
12343
ㅇㅎ) 햇반데워와라
18-01-24 10:08:51 -
12342
옴걸 1위 되는 순간
1
18-01-24 10:08:51 -
12341
베트남 부러워 하지 마라
18-01-24 08:08:03 -
12340
보라돌이 배우분 돌아가심
18-01-24 08:08:03 -
12339
옴걸 데뷔 첫 1위 축하합니당 ㅅㅅㅅ
18-01-24 06:07:16 -
12338
세계 3대 띵장 모음...
18-01-24 06:07:16 -
12337
펨코 하면서 미치도록 손가락 근질거릴 때.jpg
18-01-24 04:06:28 -
12336
[공홈] 번리, 감독 션 디쉬재계약
18-01-24 04:06:28 -
12335
학생회 마스코트 논란.JPG
18-01-24 02:05:40 -
12334
K리그 영화같은 장면.gif
18-01-24 02:05:40 -
12333
오늘자 펨코 벼락스타 실덕캉의 파란만장한 하루.gif
18-01-24 00:04:47 -
12332
[디 마르지오] 맨시티, 라포르테 바이아웃 지불할 준비가 되어있다.
18-01-24 00:04:47 -
12331
ㅇㅎ)어린노무 새끼가 벌써부터..gif
18-01-23 22:03:49 -
12330
한국 득점 확인한 실덕캉 현재모습.JPG
18-01-23 22:03:49 -
12329
갓피용한테 포 보내는새끼들 특징
18-01-23 20:02:58 -
12328
베트남 명예시민, 대표팀 감독, 베트남 역사상 최고의 감독 확정
18-01-23 20:02:58 -
12327
[골닷컴] 폴 인스산체스가 맨유를 선택한 이유는 맨시티보다 역사 깊고근본있는 상징적인...
18-01-23 18:02:02 -
12326
남양에 묻혀 불매운동 미미한 제품.jpg
18-01-23 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