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하게 번식하는 새들
2017-12-09 12:10:17 (7년 전)
아프리카 자서나(African jacana),연각
이 새는 아프리카의 습지에 사는데
긴 발가락으로 체중을 분산시켜 연잎 위에서도 가볍게 걸어다닐 수 있다.
특이한 것은 일처다부제라는 것인데, 한 마리의 암컷이 주변에 있는 3~5마리의 수컷과 짝짓기하며
암컷은 수컷이 만든 둥지에 알만 낳고 부화와 육아에는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
부화한 새끼는 어미처럼 긴 발가락을 가지고 있어 연잎 위에서 걸어다닐 수 있지만
아직 작고 미숙하기 때문에 하늘과 물속의 포식자들에게 쉽게 노출된다.
여기서 이 새의 독특한 양육방식이 드러나는데
수컷이 품 안에 새끼들을 넣어서 들고 나르는 것이다.
다양한 적에 대한 대처법을 잘 알고 있으며
움직임이 민첩한 수컷은 새끼들을 들고 다니며 훌륭히 지켜낸다.
새끼가 커져서 품에 들어가지 않으면 그냥 데리고 다닌다.
이만큼 성장하면 새끼도 충분히 적을 피할 수 있다.
큰코뿔새(great hornbill)
아시아 열대림의 아름다운 대형 조류 큰코뿔새.
오른쪽의 눈이 붉은 새가 수컷이다.
이 새는 큰 나무구멍에 둥지를 트는데
둥지는 원숭이나 큰 뱀의 공격을 받을 위험이 있다.
그래서 이들은 특이한 방어전략을 가지고 있다.
암컷이 둥지에서 알을 품기 시작하면
수컷이 진흙을 물어와 암컷과 함께 부리가 들어갈 약간의 틈만 남기고
둥지 입구를 봉해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적이 침입하려고 할 때 단단한 부리만 내밀어서 쉽게 방어할 수 있다.
이후 암컷은 안에 틀어박혀 알 품기에 전념하고
수컷은 입구의 틈으로 암컷에게 먹이를 전해준다.
둥지 내부의 모습.
암컷은 이곳에 스스로 갇혀 두 달이 넘는 고행을 치른다.
부화한 새끼가 크게 자라 많은 먹이를 요구하게 되면
암컷은 스스로 진흙을 부수고 밖으로 나가 수컷과 함께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풀숲무덤새(mallee fowl)
호주에 사는 새로 겉보기에는 별로 특이한 점이 없다.
그러나 번식법만큼은 어떤 새보다도 특이하다.
우선 암수가 함께 땅을 판 뒤에 나뭇잎과 나뭇가지를 물어다 쌓는다.
큰비가 오면 이것들이 흠뻑 젖게 되는데 그러면 위에 흙을 덮어 습기를 보존한다.
마지막으로 위에 흙과 모래를 잔뜩 덮으면 거대한 무덤 형태의 둥지가 생기게 된다.
이후 안쪽의 나뭇잎들이 썩으며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는데
적정 온도인 33도에 도달하는 데는 4개월이 걸린다.
암컷은 꾸준히 부리로 온도를 측정하다 적당한 온도가 되면 안에 알을 낳고 흙으로 덮는다.
알을 낳았다고 모든 일이 끝난 것은 아니다.
수컷은 계속 둥지 주변에 머물며 수시로 둥지의 온도를 측정한다.
태양빛이 너무 뜨거우면 흙을 두껍게 덮어 내부의 온도 상승을 막고
추운 날씨가 지속되어 둥지 재료의 부패가 느려지면
흙을 파내어 태양열이 내부에 잘 전달되게 한다.
또한 알을 노리는 적들로부터 둥지를 맹렬히 방어한다.
이 작업은 거의 일년 내내 계속되며 암컷도 지속적으로 산란한다.
알을 낳고 약 7주가 지나면 새끼가 부화한다.
둥지 밖으로 나온 새끼는 곧바로 적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자신의 아비이다.
무덤새는 새끼를 알아보지 못하며 둥지에 접근하는 생물은 전부 침입자로 인식한다.
아비의 강력한 발차기에 맞으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나오자마자 재빨리 숲 속으로 달아나야만 한다.
새끼는 갓 태어났지만 이미 보온용 깃털이 나 있고 스스로 먹이도 찾을 수 있어 부모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
흰목벌잡이새(White fronted Bee eater)
이름대로 벌을 주식으로 하는 새다.
벌을 잡은 뒤에는 벌의 꼬리를 나뭇가지에 문질러 독침을 제거한 뒤 먹는다.
흙벼랑에 구멍을 파서 둥지를 만든다.
대부분의 새는 오직 새끼의 부모만이 양육에 힘쓰지만
이들은 특이하게도 먼저 태어나 크게 성장한 젊은 새끼들이 부모와 함께 동생들을 키운다.
이렇게 하면 새끼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어린 새들도 경험을 쌓아 나중에 자신의 새끼를 가졌을 때 노련하게 길러낼 수 있다.
그런데 이 가족에 불청객이 끼어들기도 한다.
큰꿀잡이새(Greater Honeyguide)
아프리카의 사람들에게 벌집이 있는 곳을 알려주고 그 대가로 꿀을 얻어먹으며
오랜 시간 인간과 공존한 새다.
이 새는 뻐꾸기처럼 탁란을 하는데 그 대상은 주로 벌잡이새가 된다.
큰꿀잡이새는 벌잡이새보다 빠르게 부화하며 몸집도 더 크다.
또한 부리에 날카로운 갈고리가 달려있다.
이 갈고리의 용도는 단 하나, 벌잡이새의 새끼들을 죽이는 것이다.
아직 눈도 뜨지 않은 새끼 큰꿀잡이새는 본능에 이끌려
주변의 벌잡이새 새끼들을 마구 물어뜯는다.
결국 벌잡이새 새끼들은 모두 죽고 큰꿀잡이새 혼자 남아 먹이를 독차지한다.
성장하며 부리의 갈고리는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다소 잔혹하게 보일 수 있는 기생 과정은 비난받을 수도 있으나
결국 모두가 자연의 일부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는 데에 일조하는 것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 벌잡이새의 개체수는 이런 방식으로 조절되어왔던 것이다.
-
공지 유머게시판 경험치 및 포인트 지급 안내 24-08-22 00:31:38
-
705
ㅅㅅㅅ
17-09-07 11:59:11 -
704
부산 폭행 가해자에게 카톡한 야갤러
1
17-09-07 11:11:33 -
703
지금은 없어진 306 보충대 사진
17-09-07 11:11:33 -
702
빡쳐하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엔터키
17-09-07 11:11:33 -
701
마음 약한 냥이
17-09-07 11:11:33 -
700
고양이보다 강아지 키워야하는 이유
17-09-07 11:11:33 -
699
실망했다고 초밥집에 후기 남긴 이후..
17-09-07 11:11:33 -
698
대선 세대별 투표율
17-09-07 11:11:33 -
697
RPG 게임하다가 짜증나는 순간
17-09-07 11:11:33 -
696
호주의 명물, 거꾸로 폭포
17-09-07 11:11:10 -
695
고속도로 휴게소 별미 음식 베스트 10
17-09-07 11:11:10 -
694
울긋불긋, 축제로 물드는 가을… 관광공사 추천 9월의 ‘작은축제’ [기사]
17-09-07 11:11:10 -
693
인간이 만든 수
17-09-07 11:11:10 -
692
여러가지 빈혈 증상과 원인
17-09-07 11:11:10 -
691
요즘 청소년 폭행 ㅠㅠ
17-09-07 11:10:55 -
690
포인트는 어디서 사면대나요
17-09-07 11:10:55 -
689
중년 여성들이 나이트 클럽에 가는 이유
17-09-07 11:10:30 -
688
누나의 닉네임
17-09-07 11:10:30 -
687
나라땅 팔아 11억원 횡령
17-09-07 11:10:30 -
686
귀여운 임부복
17-09-07 11:10:30 -
685
김건모 엄마의 러브스토리
17-09-07 11:10:30 -
684
히딩크 한국 대표팀 맡을 의향 있다
17-09-07 11:10:30 -
683
화장실 몰카 탐지대
17-09-07 11:10:30 -
682
한국에 사는 유쾌한 미국인
17-09-07 11:10:30 -
681
5등급 슈퍼 허리케인 위성 사진
17-09-07 1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