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하게 번식하는 새들
2017-12-09 12:10:17 (7년 전)
아프리카 자서나(African jacana),연각
이 새는 아프리카의 습지에 사는데
긴 발가락으로 체중을 분산시켜 연잎 위에서도 가볍게 걸어다닐 수 있다.
특이한 것은 일처다부제라는 것인데, 한 마리의 암컷이 주변에 있는 3~5마리의 수컷과 짝짓기하며
암컷은 수컷이 만든 둥지에 알만 낳고 부화와 육아에는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
부화한 새끼는 어미처럼 긴 발가락을 가지고 있어 연잎 위에서 걸어다닐 수 있지만
아직 작고 미숙하기 때문에 하늘과 물속의 포식자들에게 쉽게 노출된다.
여기서 이 새의 독특한 양육방식이 드러나는데
수컷이 품 안에 새끼들을 넣어서 들고 나르는 것이다.
다양한 적에 대한 대처법을 잘 알고 있으며
움직임이 민첩한 수컷은 새끼들을 들고 다니며 훌륭히 지켜낸다.
새끼가 커져서 품에 들어가지 않으면 그냥 데리고 다닌다.
이만큼 성장하면 새끼도 충분히 적을 피할 수 있다.
큰코뿔새(great hornbill)
아시아 열대림의 아름다운 대형 조류 큰코뿔새.
오른쪽의 눈이 붉은 새가 수컷이다.
이 새는 큰 나무구멍에 둥지를 트는데
둥지는 원숭이나 큰 뱀의 공격을 받을 위험이 있다.
그래서 이들은 특이한 방어전략을 가지고 있다.
암컷이 둥지에서 알을 품기 시작하면
수컷이 진흙을 물어와 암컷과 함께 부리가 들어갈 약간의 틈만 남기고
둥지 입구를 봉해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적이 침입하려고 할 때 단단한 부리만 내밀어서 쉽게 방어할 수 있다.
이후 암컷은 안에 틀어박혀 알 품기에 전념하고
수컷은 입구의 틈으로 암컷에게 먹이를 전해준다.
둥지 내부의 모습.
암컷은 이곳에 스스로 갇혀 두 달이 넘는 고행을 치른다.
부화한 새끼가 크게 자라 많은 먹이를 요구하게 되면
암컷은 스스로 진흙을 부수고 밖으로 나가 수컷과 함께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풀숲무덤새(mallee fowl)
호주에 사는 새로 겉보기에는 별로 특이한 점이 없다.
그러나 번식법만큼은 어떤 새보다도 특이하다.
우선 암수가 함께 땅을 판 뒤에 나뭇잎과 나뭇가지를 물어다 쌓는다.
큰비가 오면 이것들이 흠뻑 젖게 되는데 그러면 위에 흙을 덮어 습기를 보존한다.
마지막으로 위에 흙과 모래를 잔뜩 덮으면 거대한 무덤 형태의 둥지가 생기게 된다.
이후 안쪽의 나뭇잎들이 썩으며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는데
적정 온도인 33도에 도달하는 데는 4개월이 걸린다.
암컷은 꾸준히 부리로 온도를 측정하다 적당한 온도가 되면 안에 알을 낳고 흙으로 덮는다.
알을 낳았다고 모든 일이 끝난 것은 아니다.
수컷은 계속 둥지 주변에 머물며 수시로 둥지의 온도를 측정한다.
태양빛이 너무 뜨거우면 흙을 두껍게 덮어 내부의 온도 상승을 막고
추운 날씨가 지속되어 둥지 재료의 부패가 느려지면
흙을 파내어 태양열이 내부에 잘 전달되게 한다.
또한 알을 노리는 적들로부터 둥지를 맹렬히 방어한다.
이 작업은 거의 일년 내내 계속되며 암컷도 지속적으로 산란한다.
알을 낳고 약 7주가 지나면 새끼가 부화한다.
둥지 밖으로 나온 새끼는 곧바로 적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자신의 아비이다.
무덤새는 새끼를 알아보지 못하며 둥지에 접근하는 생물은 전부 침입자로 인식한다.
아비의 강력한 발차기에 맞으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나오자마자 재빨리 숲 속으로 달아나야만 한다.
새끼는 갓 태어났지만 이미 보온용 깃털이 나 있고 스스로 먹이도 찾을 수 있어 부모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
흰목벌잡이새(White fronted Bee eater)
이름대로 벌을 주식으로 하는 새다.
벌을 잡은 뒤에는 벌의 꼬리를 나뭇가지에 문질러 독침을 제거한 뒤 먹는다.
흙벼랑에 구멍을 파서 둥지를 만든다.
대부분의 새는 오직 새끼의 부모만이 양육에 힘쓰지만
이들은 특이하게도 먼저 태어나 크게 성장한 젊은 새끼들이 부모와 함께 동생들을 키운다.
이렇게 하면 새끼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어린 새들도 경험을 쌓아 나중에 자신의 새끼를 가졌을 때 노련하게 길러낼 수 있다.
그런데 이 가족에 불청객이 끼어들기도 한다.
큰꿀잡이새(Greater Honeyguide)
아프리카의 사람들에게 벌집이 있는 곳을 알려주고 그 대가로 꿀을 얻어먹으며
오랜 시간 인간과 공존한 새다.
이 새는 뻐꾸기처럼 탁란을 하는데 그 대상은 주로 벌잡이새가 된다.
큰꿀잡이새는 벌잡이새보다 빠르게 부화하며 몸집도 더 크다.
또한 부리에 날카로운 갈고리가 달려있다.
이 갈고리의 용도는 단 하나, 벌잡이새의 새끼들을 죽이는 것이다.
아직 눈도 뜨지 않은 새끼 큰꿀잡이새는 본능에 이끌려
주변의 벌잡이새 새끼들을 마구 물어뜯는다.
결국 벌잡이새 새끼들은 모두 죽고 큰꿀잡이새 혼자 남아 먹이를 독차지한다.
성장하며 부리의 갈고리는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다소 잔혹하게 보일 수 있는 기생 과정은 비난받을 수도 있으나
결국 모두가 자연의 일부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는 데에 일조하는 것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 벌잡이새의 개체수는 이런 방식으로 조절되어왔던 것이다.
- 공지 유머게시판 경험치 및 포인트 지급 안내 24-08-22 00:31:38
-
9554
임신한 친누나...카톡...jpg
2
17-12-13 14:48:57
-
9553
현실적(?)으로 가능한 순간이동
17-12-13 14:48:37
-
9552
한국의 벤츠 판매량
1
17-12-13 14:48:37
-
9551
사장님 사무실 공개
1
17-12-13 14:48:37
-
9550
이제 외국인들도 아는 단어
17-12-13 14:48:37
-
9549
컴퓨터 잘 알아도 조립비 내고 컴퓨터 사는 이유
17-12-13 14:48:37
-
9548
여자들도 인정하는 지하철 비매너
17-12-13 14:48:37
-
9547
빌딩 꼭대기에서 인증샷 찍다가
17-12-13 14:48:37
-
9546
사장님을 위한 신체포기각서
17-12-13 14:48:37
-
9545
정신병이 생기는 이유
17-12-13 14:48:07
-
9544
열도의 부녀자들
17-12-13 14:48:07
-
9543
축구 선수 출신 요리사
17-12-13 14:48:07
-
9542
방산비리 극딜
17-12-13 14:48:07
-
9541
군대 야옹이 대참사
17-12-13 14:48:07
-
9540
멘탈 좋은 배현진
17-12-13 14:48:07
-
9539
추위에 쓰러진 어르신 살리고 홀연히 사라진 중딩들
17-12-13 14:48:07
-
9538
28살의 사형수
17-12-13 14:48:07
-
9537
외국에서까지 조직적 진상
17-12-13 14:48:07
-
9536
고든램지가 말하는 미국인들이 뚱뚱한 이유
17-12-13 14:48:07
-
9535
이국적인 한국인들의 조상
17-12-13 14:48:07
-
9534
유시민의 청와대 청원글
17-12-13 14:48:07
-
9533
아파트 세대 내 흡연 개입
17-12-13 14:48:07
-
9532
수능 넘모 망했다..
17-12-13 12:47:58
-
9531
[스카이 스포츠] 개리 네빌 맨유, 반할 이후로 발전했어, 터널 난투? 포옹할 바엔 싸우는 게...
17-12-13 12:47:58
-
9530
해병의 자부심
17-12-13 12:4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