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을 높여주는 면역력에 좋은 음식 BEST 12
2018-11-06 14:28:40 (6년 전)
먹을 것만 잘 챙겨 먹어도 면역체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신선한 채소와 곡식, 과일과 더불어 하루 8~10잔 정도의 물을 마시면서 감기 등 각종 바이러스에 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면역력에 좋은 음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요거트
배양균이 살아있는 요거트는 건강한 박테리아로 각종 병을 유발하는 세균을 막아 장을 튼튼하게 합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 대학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매일 약 200g 정도의 요거트를 섭취할 경우 면역력 증진을 위한 약을 먹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2. 마늘
3. 고구마
피부는 면역체계와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몸에서 처음으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마주하는 부분이 바로 피부입니다. 건강한 피부를 위해서는 비타민A 섭취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비타민A는 고구마와 같은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 보충할 수 있습니다.
4. 버섯
워싱턴 DC의 한의학 연구소에 따르면 버섯은 백혈구 생산을 증진시키고 활발하게 작용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바이러스 감염에 강력하게 대응하는 힘을 주어 면역력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 됩니다.
5. 브로콜리, 녹황색 채소
채소에 있는 비타민A, B, C와 마그네슘 성분은 면역력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합니다. 또 항산화 작용을 하여 신체에 유해한 성분의 발생을 억제시켜 면역력을 강화합니다.
비타민A 성분이 부족한 사람은 바이러스성 질환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 잘 걸리는데 당근이나 신선초, 호박 등에는 비타만 A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에 좋은 음식입니다. 그리고 마그네슘, 칼륨과 같은 무기질은 부교감 신경을 우위로 만들어 면역력을 한층 강화시켜 줍니다.
6. 양파
양파에 들어있는 케르세틴은 암을 예방하고 위궤양에도 효과적이며 양파의 생리활성물질은 비타민C의 흡수를 도와 면역체계를 강화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7. 소고기
아연은 채식주의를 하는 사람에게 가장 부족한 영양소 중 하나입니다. 고기에는 면역력을 돋우는 미네랄 성분인 아연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아연은 백혈구 생산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영양소로 감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소고기 섭취를 통해 면역력을 키워야 합니다.
8. 조개
굴. 가재. 게 등 조개나 갑각류에 들어있는 셀레는 백혈구가 사이토카인을 생성하도록 돕습니다. 사이토카인은 몸에 바이러스가 침투했을 때 이를 물리치는 단백질입니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연어나 고등어도 폐를 건강하게 해 호흡기 감염을 막는데 도움을 줍니다.
9. 차
하버드 대학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2주 동안 하루에 홍차를 5잔씩 마신 사람은 그냥 뜨거운 물을 마신 사람보다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힘이 10배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면역력을 높이는 아미노산인 L-테아닌이 홍차와 녹차에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10. 닭고기 수프
닭고기를 요리할 때 나오는 아미노산 시스테인은 기관지염 약인 아세틸시스테인과 화학적으로 비슷합니다. 소금기 있는 닭고기 수프는 기관지염 약처럼 점액을 얇게 만드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수프 맛을 내기 위해 들어가는 마늘이나 양파도 면역력을 올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11. 보리와 귀리
보리와 귀리에는 베타글루칸이란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베타글루칸은 항균 기능과 노화 방지 기능을 가진 섬유질입니다. 이 성분을 먹으면 면역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치료 회복력과 항생 기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세 끼 중 적어도 한 끼 정도 보리와 귀리가 들어간 식사를 하면 면역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입니다.
12. 홍차
면역력을 높이는 성분에는 아미노산인 L-테아닌이 있는데 바로 이 성분이 홍차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한 연구기관의 실험에서 홍차를 2주 동안 5잔 이상 마신 사람은 홍차를 마시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기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면역력이 무려 10배가량 증가한 결과를 토대로 홍차 역시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좋은 음식입니다.
- 공지 자유게시판 경험치 및 포인트 지급 안내 3 24-08-22 00:30:29
-
11484
완전덥네요
3
18-07-19 09:40:09
-
11483
더운데 뭐하죠 ㅠㅠ
5
18-07-18 22:23:19
-
11482
다들 머하세요?
3
18-07-18 22:20:10
-
11481
역배데이 ㅅㅅㅅ
1
18-07-18 22:17:13
-
11480
다들 화이팅!
3
18-07-18 22:12:08
-
11479
출석이요~
2
18-07-18 22:06:59
-
11478
오늘 역배데이
2
18-07-18 16:57:06
-
11477
▲2018~2019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팀
2
18-07-18 15:05:42
-
11476
[미러-제임스 너시]토트넘은 포체티노가 미국투에 잭 그릴리쉬를 데려가길 원하기 때문에 영입을 밀어붙이기로 함.
2
18-07-18 12:22:46
-
11475
[골닷컴] 호날두에이어 벤제마도 이적? 이적설 제기
2
18-07-18 12:17:53
-
11474
두산에 새로온 용병 반슬라이크??
3
18-07-18 06:36:21
-
11473
아제발
1
18-07-18 05:51:06
-
11472
국야 일야 올킬 가즈아
7
18-07-17 17:43:29
-
11471
안전운전하세오
1
18-07-17 16:53:04
-
11470
역시 여름보단..
3
18-07-17 13:15:29
-
11469
오랜만이네요!!
2
18-07-17 10:44:20
-
11468
'월드컵 결승전' 관중 난입, '푸시 라이엇' 소행… 요구사항은?
4
18-07-16 14:06:30
-
11467
[월드컵]"잘싸웠다"… 눈물과 감동 교차한 크로아티아
2
18-07-16 14:01:01
-
11466
월드컵 우승' 이후 피파랭킹? 프랑스 1위·크로아티아 7위·한국 26위 ↑… 오는 19일 확정
3
18-07-16 13:54:32
-
11465
'프랑스 월드컵 우승'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수들과 라커룸 인증샷 "잘 싸웠다 불덩어리"
2
18-07-16 13:49:30
-
11464
'월드컵 우승상금' 프랑스 431억원… 크로아티아 371억·한국 91억 수령
3
18-07-16 13:46:23
-
11463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랑스 대통령에 '진심 축하'… 골든볼은 모드리치
1
18-07-16 13:42:46
-
11462
프랑스 월드컵 우승… 프랑스 전역 흥분과 열광의 도가니
1
18-07-16 13:39:28
-
11461
프랑스 크로아티아, 월드컵 결승전서 52년 만에 '6골'… 역대급
1
18-07-16 13:34:27
-
11460
[월드컵]프랑스 우승 주역 98년생 음바페, 영플레이어상 수상 '펠레급'
1
18-07-16 13:30:39